공부

2020년 세계의 검색엔진 순위

Prunnnn 2021. 7. 13. 15:09
반응형

일본에서는 구글, Yahoo Japan이 검색포털의 대부분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2020년의 데이터를 보면 Google이 약 76% Yahoo!가 15% Bing이 약 8%입니다. 한국에서는 이미 사장된 Yahoo!가 두번째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점이 특기할만 합니다. 현재는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검색엔진이 이용되고 있는데요. 인터넷 온라인이 발달하면서 국경없는 온라인 마케팅 등을 위하여 꼭 알아야 하는 검색엔진에 대해 알아봅니다.

 

검색 엔진은 아래의 세가지 요소에 따라서 검색 결과를 정하게 되는데요.

 

검색엔진의 검색결과를 도출하는 세가지 요소 

1. 크롤링

크롤러라고 하는 검색 엔진 프로그램이 인터넷 상의 사이트 정보를 수집하게 됩니다. 사이트를 공개하면 기본적으로 크롤러가 순회하러 오지만 언제 올지는 알 수 없습니다. 조금이라도 빨리 크롤러를 부르고 싶을 때는 Goolge search console이라는 툴을 이용합니다.

 

2. 인덱스

모은 사이트의 정보를 데이타베이스에 축적합니다. 인덱스되지 않은 사이트는 검색 결과에 표시되지 않습니다. 사이트 구조에 오류가 있거나 구글로부터 패널티를 받는 경우에도 인덱스가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3. 랭킹 

인덱스된 사이트는 200종류 이상의 시그널로 랭킹되어 검색 순위가 결정됩니다. 순위를 정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공개되어 있지 않지만, 상위에 표시되는 사이트들은 사용자 요구에 부합된다고 검색엔진에서 판단한 콘텐츠들입니다.

 

2020년 세계검색엔진 Top10

1. Google

www.google.com

전세계 검색시장의 점유율 약 80%를 차지하는 구글은 단연 글로벌 Top 검색엔진입니다. 모바일 검색에 이르러서는 

약 75%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트래픽의 규모가 크고 거의 모든 기업들이 구글 검색에서의 트래픽을 둘러싸고 경쟁하기 때문에 검색 상위에 올라가는 것은 점점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또한, 정기적으로 기능의 변경이나 프로그램의 업데이트를 실시하기 때문에 트래픽을 얻기 위해서는 최신 동향에 항상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습니다.

 

2. Bing

www.bing.com

Bing은 미국 Microsoft사의 검색엔진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한정된 결과로 표시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Window 10에 탑재되어있는 인터넷 브라우저의 검색엔진으로 옵션이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향후 이용자가 증가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3. Baidu

www.baidu.com

Baidu(백도,百度)는 중국 최대 검색엔진으로 인터페이스가 중국어인 점을 제외하면 구글과 비슷한 디자인으로 흰색 배경과 파란색 링크, URL이 초록색으로 표시됩니다. Google과 마찬가지로 Baidu도 검색결과 페이지에 풍부한 기능을 포함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중국 검색엔진 시장에서 약 40%를 차지하는 높은 점유율을 갖고 있기 때문에 중국 시장에 마케팅을 목표로 하고 있다면 Baidu대책을 검토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러나 Baidu는 특정 이미지가 검열에 의해서 삭제되거나 민주화에 관한 웹사이트 등 정치성향의 사이트도 차단되기 때문에 검색엔진으로서는 제한된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4. Yahoo!

www.yahoo.com

Yahoo!는 일본에서는 검색엔진의 시장점유율 2위의 검색엔진인데요, Google의 검색 알고리즘을 채용하고 있지만 검색결과에 따라서는 자사 서비스를 표시하거나 검색 결과에 나타나는 지도가 다르거나 하는 등의 차이가 있습니다. 

 

5. Yandex

www.yandex.com

러시아 시장에 관심이 있다면 러시아의 검색 트래픽의 약 44%를 차지하고 있는 Yandex대책이 필요합니다. Yandex는 우크라이나, 카자흐스탄, 터키, 벨라루스 등에서도 인기가 있으며 영어와 터키어 외에 러시아어 등 키릴 문자권에서도의 여러 언어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Yandex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도 제공하므로 사용자는 Yandex 검색바에서 자신의 파일을 검색할 수 있습니다.

 

6. DuckDuckGo

www.duckduckgo.com

타겟팅 마케팅에 불안을 느끼거나 검색데이터를 저장시키고 싶지 않을 경우 "당신을 추적하지 않는 검색엔진"을 주장하고 있는 DuckDuckGo를 시험해 볼 수 있습니다. 이 검색엔진에서는 사용자 정보가 추적, 수집, 저장되지 않으므로 상품을 검색한 후 타겟팅광고을 염려할 필요가 없습니다. 다만, 타겟팅 광고가 없을 뿐 광고가 없다는 것은 아닙니다. DuckDuckGo는 인터페이스가 깔끔하고 검색페이지가 1개밖에 없기 때문에 어떤 검색엔진보다도 조작이 간단합니다. 

 

7. Ask

www.ask.com

Ask.com은 아직 점유율이 낮고 다른 검색엔진에 비해서는 눈에 띄지 않는 존재입니다. 그러나 Ask.com은 검색결과가 질문과 답변 형식으로 표시되는 특징이 있는 검색 엔진입니다. Ask.com의 검색연동형 광고의 대부분은 구글이 제공하지만 Ask.com에는 전문지식을 우선시하는 자체 알고리즘도 탑재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Smart Answer등 유저의 검색 쿼리에 자연 언어로 답하는 독특한 기능을 가지고 잇습니다. 

 

8. Naver

www.naver.com

Naver는 한국의 검색엔진으로 50개 전후의 카테고리로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SEO대책은 통용되지 않습니다. Naver에서 트래픽을 획득한다면 리스팅 광고나 Naver블로그 마케팅에 효과적일 것입니다.

 

9. Ecosia

www.ecosia.com

에코시아는 독일의 검색엔진으로 "수익을 투자자에게 환원하기보다 지구 온난화 대책에 사용해야 한다"를 모티브로 검색할 때마다 광고 수입의 80%이상을 산림 사업에 기부하고 있습니다. 자신이 심은 나무의 수가 오른쪽 상단 바에 표시되는 독특한 특징이 있습니다. 검색엔진 자체로서의 기능보다는 이념에 공감할 수 있는 분들에게 적합한 검색 엔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10. AOL

www.aol.com

AOL은 미국의 검색엔진으로 2000년대 급성장하였으나 현재는 점유율이 저조한 상황입니다.

 

이상 2020년 기준 검색엔진 글로벌 Top10 리스트를 알아보았습니다.

 

https://prunnnn.com/18

 

2021년 세계의 검색엔진 22선

SEO(검색엔진최적화)나 검색엔진이라고 하면 가장 먼저 구글을 떠올릴 사람들이 많을 것입니다. 그러나 세계에는 구글외에도 다양한 검색엔진이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prunnnn.com

https://prunnnn.com/14

 

쇼피파이 전망 (Shopify):: 어떻게 아마존 킬러가 되었는가.

아마존에는 출점하지 않는다고 공표한 루이비통, 디즈니, 나이키, 워크맨 등이 아마존 등의 대형 전자상거래(이커머스, EC) 플랫폼에서 이탈하는 등 전자 상거래시장이 큰 변동을 맞이하고 있다.

prunnnn.com

 

반응형